FreeBSD 8.2 base 로 설치 하였습니다 (지포스 gts 이상의 그래픽 카드인 경우 "gtx" 그놈 설치후 nvidia-driver 를 설치 하여야 그놈이 정상적으로 실행 됩니다.) linux_enable="YES" (rc.conf 에 추가 하여야 리눅스 바이너리를 사용할수 있습니다.) 설치시 고려 사양 / 600mb swap 2g tmp 2g usr 70g var 2g home 나머지
그놈의 경우 설치시간이 1일 정도 걸린거 같습니다. i7 을 사용하는 데탑인데도.. 그정도 시간이 걸렸으니.. pkg_add -r gnome2 해서 설치 하는게 좋아 보입니다.
은진체 설치
# cd /usr/ports/korean/aleefonts-ttf/ && make install clean
한글입력을 위한 SCIM설치
# cd /usr/ports/textproc/scim && make install clean
# cd /usr/ports/korean/scim-hangul/ && make install clean
PROC 파일 시스템 열기
$ vi /etc/fstab # 아래 줄 추가 proc /proc procfs rw 0 0
startup 스크립트 작성
gdm, kdm은 ~/.xsession에 설정하고 startx를 쓴다면 ~/.xinitrc에 아래의 사항을 적어놓고 저장합니다.. (없으면 파일을 만들면 됩니다) .xsession을 쓰실때는 chmod +x ~/.xsession으로 실행권한을 줍니다. .xinitrc 를 자신이 쓰는 계정 홈디렉토리에 저장 chown test:test .xinitrc 로 권한 변경 합니다.
##### 모니터 환경 설정 ###### # nvidia-xconfig --add-argb-glx-visuals # nvidia-xconfig --composite # nvidia-xconfig --depth=24 #####
------------------------------------------------------------------------------------------------------------------------------------------------------------ 리붓후 그놈으로 로그인 하여 xchat 을 설치해 줍니다. whereis xchat make install clean ------------------------------------------------------------------------------------------------------------------------------------------------------------ compiz-fusion 설치 whereis compiz-fusion make install clean compiz-fusion 을 위해 xorg.conf 를 수정
chmod +x .start-compiz 해서 실행할수 있게합니다. chown sanjuk:sanjuk .start-compiz 소유권 변경합니다. 시스템 -> 기본설정 -> 시작 프로그램에서 추가 시킵니다.. ex) 이름 compiz-fusion 명령 /home/usrname/.start-compiz 설치한 후에.. 컴피즈 퓨전 관리자 에서
창장식 활성화 체크 (효과 -> 창 작식 "체크") alt+F2 emerald --replace
로 에메랄드 제실행 해야.. 작업표시줄 상위에 제대로 적용 된다.. -_- (귀찮을시는 그냥 리붓 해도 무방하다) Splash
/usr/local/share/compiz/splash_background.png
Ctrl + F11 를 누르면 로고가 나오게 됩니다. metacity --replace compiz 끄기
------------------------------------------------------------------------------------------------------------------------------------------------------- 네이트 온 설치
pidgin 에서 nateon 셋팅하여 사용하면 끝 ----------------------------------------------------------------------------------------------------------------------- 컬러 ls 사용
ls-colors 사용
#whereis gnuls
#make install clean
#vi .cshrc 수정 alias ls 'gnuls --color'
------------------------------------------------------------------------------------------------------------------------- ftp-client 설치
------------------------------------------------------------------------------------------------------------------------- comix 설치 (만화책 뷰어)
whereis comix make install clean ------------------------------------------------------------------------------------------------------------------------- sound 설정
사운드 설정
# cp /usr/share/examples/cvsup/standard-supfile /root/ # # vi /root/standard-supfile (특별히 수정할 필요는 없다.) # csup -g -L 2 -h cvsup.jp.freebsd.org/root/standard-supfile
# cd /usr/src/sys/i386/conf # cp GENERIC MYKERNEL # vi MYKERNEL
1. `cd /usr/src' (or to the directory containing your source tree). 2. `make buildworld' 3. `make buildkernel KERNCONF=SANJUK (default is GENERIC) 4. `make installkernel KERNCONF=SANJUK (default is GENERIC)
# vi /boot/loader.conf
loader.conf 에 내용을 추가합니다. sound_load="YES" snd_hda_load="YES"
vi /boot/defaults/loader.conf sound_load="YES" # Digital sound subsystem snd_hda_load="YES" # Intel High Definition Audio (Controller) snd_ich_load="YES" # Intel ICH
sysctl hw.snd.default_unit=4 명령어를 통해 디폴트를 변경 합니다.. /etc/sysctl.conf hw.snd.default_unit=4 추가 해 준다. (차후 계속 해서 잡어줄 필요 없슴)
vi /boot/defaults/loader.conf sound_load="YES" # Digital sound subsystem snd_hda_load="YES" # Intel High Definition Audio (Controller) snd_ich_load="YES" # Intel ICH
작업중...
oss 를 사용하면 최신사운드 카드 제품을 사용할수 있지만 제가 쓰는 creative extream music 은 정상적으로 사용이 안되었습니다. 그놈에서 음악을 듣고 있으면 한.. 10분 만에 리붓이 되곤 합니다.. 차후 구굴링을 통해 정상적으로 이용가능할때 다시 정리해 놓겠습니다.
아래사용한예는 일딴 올려 놓아 봅니다. oss sound 로 교체 /usr/ports/audio/oss make install clean
ossinfo 로 정상적으로 잡혔나 확인해 볼수 있다. ----------------------------------------------------------------------------------------- freebsd Web Browsers
http://www.freebsd.org/doc/handbook/desktop-browsers.html (참고 페이지) freebsd firefox3.6 설치 whereis firefox36 make install clean firefox36-i18n // firefox 한글화 about:config에서 general.useragnet.locale 의 값을 ko-KR 로 변경 firefox and java plugin 설치
for firefox 3.6
cd /usr/ports/java/openjdk6 make config install clean
Note: The above site does not provide binary packages for FreeBSD 8.X. It is however possible to use the packages for FreeBSD 7.X on an 8.X system. Simply install the misc/compat7x port before installing the package. /usr/ports/misc/compat7x make install clean
Make sure you have selected the WEB option.
(설치 중간에 time tools 파일을 다운 로드 받아.. /usr/ports/dist 파일로 카피후 다시 make install clean 한다)
Each user will have to run the following command:
% ln -s /usr/local/openjdk6/jre/lib/IcedTeaPlugin.so \ $HOME/.mozilla/plugins/ Start your browser, enter about:plugins in the location bar and press Enter. A page listing the installed plugins will be displayed; the Java plugin should be listed there now.
firefox and adobe flash plugin 8.x 기준 설치
Under FreeBSD 8.X
Install the www/nspluginwrapper port. This port requires emulators/linux_base-f10 which is a large port.
The next step is to install the www/linux-f10-flashplugin10 port. This will install Flash 10.X, this version is known to run correctly under FreeBSD 8.X.
This version will require the following link to be created:
whereis nspluginwrapper make install clean
whereis linux_base-f10 make install clean
whereis linux-f10-flashplugin10 make install clean
(설치 하다 보면 자동으로 설치 되어 있는 것들도 있다.. linux_base-f10 제경우 자동으로 설치 되어 있었습니다. )
make makesum
Then...
make install
make install clean 대신 사용하여 설치 합니다.
# ln -s /usr/local/lib/npapi/linux-f10-flashplugin/libflashplayer.so \ /usr/local/lib/browser_plugins/ The /usr/local/lib/browser_plugins directory will have to be created manually if it does not exist on the system.
Once the right Flash port, according to the FreeBSD version you run, is installed, the plugin must be installed by each user with nspluginwrapper:
% nspluginwrapper -v -a -i
리눅스 에뮬레이터 사용의 경우 rc.conf 에 linux_enable="YES" 라고 한줄 적어 줍니다.
fstab 에
linproc /usr/compat/linx/proc linprocfs rw 0 0
를 추가 해 줍니다.
vi /etc/make.conf
OVERRIDE_LINUX_BASE_PORT=f10 OVERRIDE_LINUX_NONBASE_PORTS=f10 추가해 준다.
oss gnome + firefox3 사용가능하게 세팅 oss 작업중(오픈소스 사운드 드라이버 정도로 생각하면 됩니다..) -------------------------------------------------------------------------------------------------- 멀티 미디어 multimedia audacious 설치 whreis aaudacious make install clean audacious-plugins make install clean
whereis xmms
make install clean
gdb /usr/local/bin/audacious2 run quit 한번 하고 리붓 하고 나면 프로그램에서 정상적으로 .. 설치된 audacious를 볼수 있습니다.
vlc 설치(동영상 파일 재생 ) whereis vlc make install clean /dev/oss/oss_sbxfi0/pcm0 (creative x-fi 사용을 위해 // audacious 도 동일한 설정을 하면 된됩니다. 현제는 셋팅이 잘못되었는지 리붓을해서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audio/linux-f10-alsa-plugins-oss 설치 make install
cd /usr/ports/audio/linux-f10-alsa-plugins-oss/work && /usr/bin/find * -type d -exec /bin/mkdir -p "/compat/linux/{}" \; cd /usr/ports/audio/linux-f10-alsa-plugins-oss/work && /usr/bin/find * ! -type d | /usr/bin/cpio -pm -R root:wheel /compat/linux
vi /etc/make.conf
OVERRIDE_LINUX_BASE_PORT=f10 OVERRIDE_LINUX_NONBASE_PORTS=f10 (위 사항을 삭제 하였다 과거 7.x 버젼의 경우 위에 값을 적어 줘야 정상 작동 하였다. 8.x 부터는 아직까지는 별문제 없이 플래쉬를 쓰고 있습니다..) oss (웹 동영상의 경우 동영상 flash 의 경우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리눅스 firefox 설치시 작동이 잘될수도 있으나.. 그냥 기존 사운드 카드만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
------------------------------------------------------------------------------------- 개발 환경 조성을 위해 eclipse // jdk16 // virtualbox // emacs // code::blocks // jedit 설치
whereis eclipse make isntall clean
(디폴트로 설치 " 설치중 오류가 날수도 있으니 반드시 디폴트로 설치 한다 .. 오류가 날경우 eclipse-devel 로 다시 설치 합니다..) (설치중 오류 " jdk16 부터 설치") (pkg_add -r eclipse 로 설치 ) whereis jdk16 make install clean jdk 셋팅 /etc/profile
java -version 으로 버젼 확인 java version "1.6.0_03-p4" Java(TM) SE Runtime Environment (build 1.6.0_03-p4-usrname_24_may_2011_05_15-b00) Java HotSpot(TM) Server VM (build 1.6.0_03-p4-usrname_24_may_2011_05_15-b00, mixed mode)
정상 적인 확인
상위 작업 표시줄 시스템에 있는 자바 콘솔에서는.. 한글로 안나오는게 정상입니다. 자바 라이센스 때문에.. root 유저가 아닌 이상 정상적인 한글로 나오지 않고 깨져 나옵니다.
jedit /usr/ports/editors/jedit make install clean (자바기반의 에디터 )
codeblocks /usr/ports/devel/codeblocks make install clean
# portsnap fetch update # cd /usr/ports/emulators/virtualbox-ose && make install clean
/boot/loader.conf vboxdrv_load="YES"
/etc/rc.conf vboxnet_enable="YES"
Add all users that need virtualbox to the vboxusers group:
# pw groupmod vboxusers -m usrname // testuser :사용자 이름 으로 적어 주면 됩니다..
/usr/ports/devel/py-setuptools 오류가 생길때는.. /etc/make.conf 에 아래 사항을 추가 시켜 줍니다. FORCE_PKG_REGISTER=YES
/usr/ports/devel/py-setuptools]#make clean && make install 설치 완료 후 다시 VirtualBox 를 설치 하여 줍니다. cd /usr/ports/emulators/virtualbox-ose && make install clean
cd /usr/ports/emulators/virtualbox-ose-additions && make install clean (설치가 안될경우 설치 하지 않습니다.) vi /etc/rc.conf
90-vboxguest.fdi HAL users should create this in /usr/local/etc/hal/fdi/policy/90-vboxguest.fdi or copy it from /usr/local/share/hal/fdi/policy/10osvendor/90-vboxguest.fdi:
<?xml version="1.0" encoding="UTF-8"?> <!-- # Sun VirtualBox # Hal driver description for the vboxmouse driver # $Id: 90-vboxguest.fdi 21412 2009-07-08 21:18:57Z vboxsync $
Copyright (C) 2008-2009 Sun Microsystems, Inc.
This file is part of VirtualBox Open Source Edition (OSE), as available from http://www.virtualbox.org. This file is free software; you can redistribute it and/or modify it under the terms of the GNU General Public License (GPL) as published by the Free Software Foundation, in version 2 as it comes in the "COPYING" file of the VirtualBox OSE distribution. VirtualBox OSE is distributed in the hope that it will be useful, but WITHOUT ANY WARRANTY of any kind.
Please contact Sun Microsystems, Inc., 4150 Network Circle, Santa Clara, CA 95054 USA or visit http://www.sun.com if you need additional information or have any questions. --> <deviceinfo version="0.2"> <device> <match key="info.subsystem" string="pci"> <match key="info.product" string="VirtualBox Guest Service"> <append key="info.capabilities" type="strlist">input</append> <append key="info.capabilities" type="strlist">input.mouse</append> <merge key="input.x11_driver" type="string">vboxmouse</merge> <merge key="input.device" type="string">/dev/vboxguest</merge> </match> </match> </device> </deviceinfo>
/boot/loader.conf atapicam_load="YES"
/etc/rc.conf hald_enable="YES"
--------------------------------------------------------------------------------------- 의존성 작업 때문에 중간에 포트업그레이드를 해야 할때도 있습니다.
의존성 작업 # cd /var/db/pkg # mv pkgdb.db pkgdb.db.bak # pkgdb -u
------------------------------------------------------------------------ emacs - 개발툴 설치 whereis emacs make install clean
view 설치 epdfview - pdf 리더기 whereis epdfview make install clean
gimp 설치 whereis gimp make install clean
openoffice - 워드 프로세서 /usr/ports/editors/openoffice.org-3]#make LOCALIZED_LANG=ko install (언어팩 설치) - ports 파일에 문제로 차후에 설치. /usr/ports/editors/openoffice.org-2 make LOCALIZED_LANG=ko install 만약 3 버젼이 설치가 안된다면 2버젼을 설치 해보자. ---------------------------------------------------------------------------------------------------------------- OpenOffice.org Build OOO330_m20 Personal Install How-To
OpenOffice.org OOO330_m20 will soon been installed in /usr/local/openoffice.org-3.3.0
1. User installation --------------------
Just type "openoffice.org-3.3.0" after you have successfully installed the package. If there is no installed OO.org dir in your homedir, the setup installs ".openoffice.org3" folder.
2. Starting OO.org ------------------
There are some wrappers installed for faster startup. Add "/usr/local/bin/" to your PATH and you will be able to use them.
OO.org does need $LANG to be set to a suitable value.
3. If you run into problems -------------------------------------------------- If you somehow run into problems, please remove the already installed ".openoffice.org3" dir in your homedir. Redo the user installation and the problems should go away.
===> Registering installation for ko-openoffice.org-3.3.0 ===> SECURITY REPORT: This port has installed the following files which may act as network servers and may therefore pose a remote security risk to the system. /usr/local/openoffice.org-3.3.0/openoffice.org/basis3.3/program/python-core-2.6.1/lib/lib-dynload/_socket.so /usr/local/openoffice.org-3.3.0/openoffice.org/basis3.3/program/libcurl.so.4 /usr/local/openoffice.org-3.3.0/openoffice.org/ure/lib/libuno_sal.so.3 /usr/local/openoffice.org-3.3.0/openoffice.org/basis3.3/program/libneon.so
If there are vulnerabilities in these programs there may be a security risk to the system. FreeBSD makes no guarantee about the security of ports included in the Ports Collection. Please type 'make deinstall' to deinstall the port if this is a concern.
For more information, and contact details about the security status of this software, see the following webpage: http://www.openoffice.org/
gnuls- 컬러 ls bluefish - HTML_Edit vlc -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jedit - java 기반 에디터 xchat - irc 클라이언트 pidgin - 통합 메신저 firefox3 - 웹브라우져 gimp - 그래픽 작업 compiz-fusion - 3d desktop acroread - pdf 리더기 xpdf - pdf 리더기(장점:: 가벼움) eclipse - 개발도구 audacious - mp3 플레이어 / xmms 을 설치해 줘야 정상작동함 /usr/ports/multimedia/xmms -- mp3 플레이어 설치 filezilla - ftp 클라이언트 bittorrent - p2p cd /usr/ports && make search display=path key=torrent (검색) /usr/ports/net-p2p/transmission torrent client p2p /usr/ports/net-p2p/azureus (bittorrent) wine - windows 에뮬레이터 comix - 만화책 볼때...ㄷㄷㄷ; subversion - 개발툴 mplayer -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streamtuner -- mp3 방송 청취 anjuta - c c++ 개발툴 code::blocks - 개발툴 emacs - 개발툴 virtualbox - 버추얼 머신 vm jdk16 - java 개발툴 openoffice - 워드 프로세서 docky - dock google-earth 구굴 어스
------------------------------------------------------------------------------------------------------------------ ntp 설정
keyboard 설정중 ... 아직 한영키를 쓸수 없다. 아이락스 usb 키보드를 쓰고 있지만 아직 한영키를 불러올수가 없더군요..
rc.conf
# -- sysinstall generated deltas -- # Tue May 10 09:53:40 2011 # Created: Tue May 10 09:53:40 2011 # Enable network daemons for user convenience. # Please make all changes to this file, not to /etc/defaults/rc.conf. # This file now contains just the overrides from /etc/defaults/rc.conf. defaultrouter="192.168.0.1" hostname="desk.test.net" ifconfig_em0="inet 192.168.0.222 netmask 255.255.255.0" keymap="us.iso" keyrate="fast"
쓰고 있던 데스크 탑에서 portupgrade 를 해주면.. 잘쓰던 compiz-fusion 이나.. 파이어폭스 등등에서 문제가 생길수도 있습니다. 의존성 문제가 있어서 그런듯 싶은데.. 문제가 있는 프로그램을 whereis compiz-fusion 으로 검색하여.. make reinstall 등으로 해결을 하면 됩니다. (정확히.. make reinstall 로 해결 했다고 까지는 말씀 못드리겠습니다. ;; )
Freebsd 의 ports 시스템이 좋아서 입문하였다가. 데스크탑 설치까지 해보고 현제도 .. 잘쓰고 있는중입니다. 데스크탑도 시간날때 공부 삼아서 설치해서 쓰면 좋을듯 합니다. 우분투 보다는 많은 구굴링과 삽질이 필요하지만.. 시간이 나면 한번쯤 설치해 보는것도 좋을듯 합니다.
위에 있는 내용의 베이스는 freebsdcity.org 에서 freebsd + xorg + gnome2 (프비데스크탑설치)의 글에서 발취한글과.. 제가 사용하면서 적은것과 검색을통해.. 적어놓은것과 합쳐져 있습니다.
xorg + gnome2 올려놓고 틈틈히 정리한 문서입니다. 혹시나 필요한 분이 계시지 않을까 싶어서 이렇게 올려놓아 봅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코멘트 달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