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2015. 5. 13. 15:15

출처 : http://movenpick.tistory.com/23


이번 소개에서는 리눅스에 새로운 HDD추가 하는법과 추가후 파티션을 나누는법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HDD추가


먼저 HDD추가 하는법부터 보겠습니다. HDD를 추가하기위해선 VMware에 깔려있는 리눅스부터Power off시켜주셔야 합니다.




power off를 해주신다음 장치 목록중 하드디스크를 더블클릭 해줍시다.



창이 하나뜨면 add를 눌러줍시다




다시 이런창이뜨네요. 근데 우린 이창을 본적이있죠. 리눅스를 설치할때 가상머신 설정할시 뜨던 창입니다. next를 눌러줍시다.



계속 next를 누르다보면 가상 하드디스크 용량을 정해주는 창이뜰텐데요. 저같은 경우엔 5기가만 할당 해보겠습니다.



계속 next를 눌러 finish가 뜨면 완료! 목록들을 보니 하드디스크가 하나더 생긴걸 볼수있네요.

ok누르시고 리눅스를 다시 부팅 시켜봅니다~


로그인 하시고 터미널을 실행 시켜보아요~



터미널을 실행 시킨뒤 fdisk -l를 처봅시다.


fdisk -l 는 현재 가상머신에 장착되어있는 disk들의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위에서 보시면 처음 빨간색 네모안에 있는 정보들이 첫번째 가상 하드 디스크 정보들입니다. 리눅스를 설치할때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나눈 정보가 고스란히 나와있습니다.


그후 이번에 새로 추가한 HDD의 정보는 아래의 빨간줄을 보시면됩니다.

아직 알맞은 파티션 테이블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하네요.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파티션의 설명과 파티션을 나누는 법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2.파티션(Partition)


파티션은 기본적으로 최대 4개의 기본 파티션으로 나눌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보시면 알수있듯이 첫번째 하드디스크는 4개이상의 파티션을 가지고있지요. 이렇게 4개 이상의 파티션을 만들수 있도록 도와주는 파티션이 확장 파티션입니다.


확장 파티션은 말그대로 파티션을 확장 시켜주는 역활을 하는거라고 보시면됩니다.

확장 파티션안에 또다른 파티션을 논리 파티션이라고 합니다. 논리 파티션은 최대 12개까지 파티션을 나눌수가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최대 파티션을 나눌수있는 갯수는


기본 파티션 3개,    확장 파티션 1개,    확장 파티션안의 논리파티션 12개로 총 16개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많이 나누는 일은 많지가 않죠. 이번 소개에서도 파티션 나누는 법을 소개해드리는것이기때문에 많이 나누지는 않겠습니다. 확장 파티션 이해를 위해 사용할수있는 5개의 파티션을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확장 파티션은 논리 파티션을 추가 할수있는 기능만 제공 하기때문에 실질적으로 사용 할수 없는 파티션이에요)


먼저 파티션이 나눠져 있는 하드디스크 경로는 /dev/sda라는 것을 알수있지요.

그럼 파티션 테이블을 가지고 있찌 않는 하드디스크 경로는 뭘까요? 위에 그림을 살펴볼께요.


마지막 줄의 빨간색 밑줄친 부분을 보시면 /dev/sdb라는 것을 알수있습니다.


이제 하드디스크의 경로도 알고 있으니 파티션을 나누어보도록 할께요.

파티션을 나누어 설정하는 명령어는 fdisk [경로] 입니다.



fdisk /dev/sdb를 처봤더니 이런 식의 문구들이 뜨네요.


마지막줄을 잘보시면 명령어치는 부분이 있습니다. m을 눌러 명령어의 종류를 볼수도있지만

일단 중요한 몇가지 명령어에대해서 설명 드릴께요.


n        새로운 파티션을 만듭니다.

>n을 치고나서의 명령어

p    기본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e    확장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w        파티션 테이블 설정을 저장합니다.



일단 첫번째 기본 파티션을 설정 해보았습니다.


첫번째로 n(새로운 파티션 생성) -> p(파티션 종류는 기본파티션) -> 1(첫번째 파티션) -> 1(하드디스크 용량 시작점) -> +1g (총 1GB를 첫번째 기본 파티션에 할당)


이 순서로 설정을 해주었습니다. 파티션도 각각 용량을 할당 해주어야하는데요.

총 5개의 파티션을 만들거고 5기가의 용량이 존재 하기때문에 1기가씩 주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첫번째는 1 ~ 1GB까지의 용량(영역)을 할당 했습니다.



두번째 파티션을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n(새로운 파티션생성) -> p(파티션 종류는 기본파티션) -> 2(두번째 파티션) -> 그냥 엔터(기본 값 124를 사용하겠다는 의미) -> +1g(총 1GB용량 할당)


*기본값이 정해져 있는경우 엔터를 치면 기본값이 적용됩니다.




3번째까지 기본 파티션으로 만들었습니다.


4번째는 기본 파티션이 아닌 확장 파티션으로 만들어 추가적인 파티션을 생성할수있도록 만들어줘야 합니다. 확장 파티션 안에 추가적인 파티션을 생성하기위해선 할당 하고 남은 나머지 용량을 모두 확장 파티션에 할당 시켜줘야합니다.

그래야 확장 파티션이 가지고 있는 용량으로 추가적인 파티션을 생성할수있는거지요~



4번째는 확장 파티션으로 만들어줬습니다. 4번째 파티션이 선택됬다고 문구가 뜨네요. 이 의미는 4번째 파티션에 확장 파티션을 생성했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지금까지 3개의 기본 파티션을 생성했기때문에 나머지 2개의 파티션도 만들어줘야겠지요.

새로 만들기 명령어 n을 사용하여 4번째 파티션에도 역시 1GB만큼용량을 할당했습니다.

지금부터는 몇번째, 무슨 종류의 파티션을 만들것인지 물어보지 않습니다. 이유는 기본 파티션 3개와 마지막 확장 파티션으로 4개 모두 만들어줬기때문에 더이상 몇번째 파티션에 만들지 않물어보는것입니다. 또한 자동적으로 확장 파티션안에 논리 파티션을 생성 하기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원리로 2개의 논리 파티션을 생성했습니다. 이제 총 5개의 파티션 설정이 완성 되었네요. 이렇게 테이블을 만든후 테이블을 저장 해줘야 파티션 설정이 완벽히 끝납니다.



w명령어를 사용해 저장을 했습니다. 테이블이 저장 됬다는 문구가 뜨면서 경고 메세지가뜨네요. 현재로는 방금 만들어진 테이블을 읽을수 없다고 뜨는 문구인데요. 재부팅을 하고 나면 읽을수 있다는 문구입니다. 



fdisk -l을 이용해 테이블들을 확인해보니 정상적으로 테이블이 만들어진걸 볼수있죠.

이제 파티션을 만들어줬으니 포멧을해 파일시스템을 구성해줘야 합니다.



3. 파일시스템(file system)


파일시스템은 메모리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를 생성,삭제,이동 등등 데이터의 관한 모든 기능을 가능케 해주는 시스템 입니다.


항상 하드디스크를 사용하기전에 포멧을하지요. 포멧을 한다는건 단순히 하드디스크에 있는 데이터를 지우는 역활이 아닌 파일시스템을 구성하는 단계입니다.

여기서 마찬가지로 파일시스템을 구성해줘야 새로 추가한 하드디스크를 사용할수있는거죠.


리눅스뿐만 아니라 다른 OS에서도 파일시스템 종류는 다양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지금 쓰고있는 ext3이라는 파일시스템을 새로 추가한 하드디스크 파티션 각각에 설정 해보려 합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하실점은 확장 파티션은 파일시스템 구성을 해줄필요가 없다는거죠.

그 이유는 우리가 직접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할 파티션은 확장 파티션이 아닌 확장 파티션 안에 존재하는 논리 파티션들이기때문입니다.


그렇다면 파일시스템을 구성해줘야 하는 파티션 경로는 위 테이블에 나와 있듯이 /dev/sdb1~3과 5,6이네요. sdb4를 제외한 모든 파티션에 파일시스템을 구성 해주면 됩니다. 


파일 시스템을 구성 하는 방법


mkfs -t ext3 [파티션 경로]


mkfs는 make file system의 약자 이며 -t 옵션은 type을 뜻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다 시피 파일시스템 종류는 ext3으로 하겠습니다.


자 그럼 파일시스템 구성을 해보도록 할께요.



먼저 첫번째 기본 파티션에 파일시스템을 구성한 모습입니다. 수많은 정보들이 막뜨면서 완료가되네요. 이런식으로 4번째 확장 파티션을 제외한 모든 파티션에 파일시스템을 구성해줍니다.


모두 구성 해줬다면 정상적으로 모두 구성됬는지 확인을 해봐야 겠지요.


파일시스템 확인 명령어


file -s [파티션 경로]


이 명령어로 각각의 파티션을 확인 해보시면 ext3으로 구성된것을 알수있습니다.



하나하나 검사해보니 모두 ext3 파일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네요. 이렇게해서

파일 시스템 구성까지 완료 했습니다!


이제 파일 시스템 구성까지 끝났으니 사용하면 되는데... 대체 위 5개의 파티션은 어디를 통해서 사용할수 있는 용량들일까요??


리눅스 /(최상위) 디렉토리 아무 곳에 데이타를 저장 하게되면 저희는 단지 기존에 존재하던 하드디스크 용량을 쓰는 일이 됩니다. 


이런식으로 추가한 파티션을 쓰기위해선 통로가 필요하겠죠. 통로를 연결 하기위해서 쓰는 기능이 바로  mount입니다.


4. 마운트(Mount)


마운트는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사용할수 있도록 파티션과 특정 디렉토리 사이에 통로를 만들어 주는 기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먼저 5개의 파티션을 모두 마운트 하기위해 5개의 디렉토리를 만들어보도록 할께요.



dir1~5까지 생성 했습니다. 이제 차례대로 파티션1~6(4제외)까지 각자 하나의 디렉토리에 마운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차례대로 모두 마운트 한후 이것또한 마운트가 잘되었는지 확인을 해봐야겠죠.


마운트 명령어


mount [파티션 경로] [마운트할 디렉토리 경로]


마운트 정보 확인 명령어


df -h


위에 명령어로 현제 어떤 디렉토리가 어떤 파티션에 마운트가 되어있는지 모두 확인할수가 있습니다.


위에 그림을 보시면 /dev/sdb1~6까지 어느 디렉토리에 마운트가 되어있는지 확인할수가있죠.


마운트까지 모두 끝났습니다. 이제 만약 dir1이라는 디렉토리안에 파일/디렉토리를 생성하여 메모리를 사용하게 된다면 메모리용량은 새로 추가한 하드디스크 파티션1에서 사용하게 되는것이지요.


주의하실점은 이렇게 마운트를 해놓게되면 재부팅을 한후 마운트 설정을 다시 해줘야 한다는 아주 불편한 단점이 있습니다.


재부팅이 될시 자동적으로 마운트가 되도록 설정해주는 방법은 따로 소개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Posted by 배움나눔
FreeBSD2015. 3. 6. 12:33

sysinstall

 

설치 화면이 나온다

 

'FreeBSD'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eeBSD SNMP  (0) 2015.02.09
FreeBSD 7.x 에서 ntp 설정하기  (0) 2015.02.09
FreeBSD - Xorg + Gnome2 + 데스크탑 프로그램설치.  (0) 2012.05.11
FreeBSD ports 좀더 자세히 알기  (0) 2012.05.11
FreeBSD SNMP 설치 (net-snmp)  (0) 2012.05.10
Posted by 배움나눔
Windows2015. 3. 2. 16:53

출처 : http://egloos.zum.com/darkjack/v/2795708

 

Check Point3. 수동으로 찾아 주자!!
WSUS에서 리스트에 아예 없거나 "아직 보고되지 않음"으로 표시 된다면, Target 서버(Computer)에서 Command로 바로 연결 하도록 설정 해 주자.

1. WSUS에서 "아직 보고되지 않음"으로 표시된 Target이 있으면 먼저 삭제
2. Target 서버(Computer)로 터미널이나 콘솔로 접속
3. CMD 창을 연다.
4. CMD에 "net stop wuauserv" 입력
5.regedit를 실행
6. 다음 레지스트리 찾는다.
-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WindowsUpdate
7. 레지스트리 편집기의 세부 정보 창에서 다음 레지스트리 항목 삭제 (4개가 다 없을 수도 있다. 하위 트리는 삭제 하지 마세요!!!)
- PingID
- AccountDomainSid
- SusClientId
- SusClientIDValidation

8. CMD에 "net start wuauserv" 입력
9. CMD에서 "wuauclt.exe /resetauthorization /detectnow" 입력
10. Regedit 창에서 "F5"로 새로 고침을 하면
- SusClientId
- SusClientIDValidation
2개의 레지스트리 항목이 생성 된다면, WSUS에서 인식을 한 것 이다.
WSUS에서도 새로 고침 및 찾기를 하면 Target이 추가 된 것을 확인 할 수가 있다.

기술 문서 : http://support.microsoft.com/kb/903262/kr-ko


참고. Ghost, TrueImage 등으로 작업 한 컴퓨터의 경우 SID 값을 변경 해 주어도 WSUS 관련 ID 값이 변경 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Posted by 배움나눔
AWS-AMAZON2015. 2. 16. 18:22

OpenSSH Client 연결 시 permission denied(publickey)

 

AWS에서 ssh 를 통해 계정 패스워드를 입력 하다 보면  putty나 SSH Client에서 Permission denied(publickey)라는 오류를 출력하며 접속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OpenSSH Server 설정에 Password 입력이 비 활성화 되어 있어 그런 경우가 있다

이 경우 /etc/ssh/sshd_config(Ubuntu Linux 기준) 파일에서 PasswordAuthentication를 찾아 no를 yes 변경 하면은 Password 입력을 활성화 할 수 있다.

Posted by 배움나눔
Cacti2015. 2. 16. 15:01

출처 : http://blog.network-outsourcing.de/cacti-howtos/cacti/installing-cacti/

Install Cacti on CentOS 6/7

In this posting you will be learning how to install Cacti on a freshly installed CentOS 6 system.

Addition Information

Do you want to have an on-demand cacti for your small office or large site ? look here: Cereus-Monitoring


Step 1 – Prerequisites

First we need to install some of the software packages needed for Cacti to run properly. Software which is not included or enabled in the base CentOS 6 installation are:

  • rrdtool
  • apache
  • mysql
  • cron
  • gcc

Let’s use yum to get these installed.

Centos 6:
yum -y install mysql-server php php-cli php-mysql net-snmp-utils rrdtool \
  php-snmp gcc mysql-devel net-snmp-devel autoconf automake libtool dos2unix

Centos 7:
yum -y install mariadb-server php php-cli php-mysql net-snmp-utils rrdtool \
  php-snmp gcc mariadb-devel net-snmp-devel autoconf automake libtool dos2unix

gcc and the devel packages are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of spine, hence that’s why we include it here.

Now let’s make sure that our webserver and the database are automatically starting up after a reboot. Use the following commands to enable these:

Centos 6:
chkconfig httpd on
chkconfig mysqld on
chkconfig crond on

Centos 7:
chkconfig httpd on
chkconfig mariadb on
chkconfig crond on

Now that we did make sure that these services start after a reboot, let’s start them manually now in order to continue the installation. Cron may already be running so don’t panic if you don’t see the usual start message:

service httpd restart
service mariadb restart
service crond restart

Step 2 – Cacti Files

Let’s now move to the actualy installation of Cacti. First we need to download and extract it. As of version 0.8.8, a fully patched Cacti including the Plugin Architecture (PIA) is officially available, so we’re downloading that one:

cd /var/www/html
wget http://www.cacti.net/downloads/cacti-0.8.8b.tar.gz
tar -xzvf cacti-0.8.8b.tar.gz

I usually suggest to create a symbolic link to the newly created directory “cacti-0.8.8b”. This will make upgrades to never Cacti versions easier:

ln -s cacti-0.8.8b cacti

Step 3 – Cron and file permissions

Cacti uses cron (scheduled task) in order to execute its polling process.  It’s always a good idea to run this under a special user. Let’s create the system “cacti” user now:

adduser cacti

Having done that, we can now  add a new cron entry to your system for a 5 minute polling interval using the following command:

echo "*/5 * * * * cacti php /var/www/html/cacti/poller.php &>/dev/null" >> /etc/cron.d/cacti

Finally, we also need to make sure that the permissions on the log and rra directories are set correctly:

cd /var/www/html/cacti
chown -R cacti.apache rra log  
chmod 775 rra log

Now we patch Cacti:

wget http://www.cacti.net/downloads/patches/0.8.8b/security.patch
patch -p1 -N < security.patch

Step 4 – Cacti Database

Now that we have extracted the cacti files, we can move on preparing the database for the final installation step. Your first step should be securing the mysql database. The following command will help you with this task on a CentOS system. Make sure to select a strong password for root, e.g. MyN3wpassw0rd

/usr/bin/mysql_secure_installation

Let’s create a new database and assign a special user to it:

mysqladmin -u root -p create cacti
mysql -p cacti < /var/www/html/cacti/cacti.sql
mysql -u root -p

With the last command, you should be seing a mysql prompt where you can enter mysql commands. Here we are going to create the special cacti user. That user only needs to be able to connect from the local system and should have a strong password as well. Enter the following commands and make sure to replace the password:

GRANT ALL ON cacti.* TO cactiuser@localhost IDENTIFIED BY 'MyV3ryStr0ngPassword';
flush privileges;
exit

We now have the cacti files and the cacti database setup. The last step before moving to the web-based installer is setting the database credentials within the Cacti config file:

cd /var/www/html/cacti/include/
vi config.php

Change the $database_ lines to fit your new settings:

$database_type = "mysql";
$database_default = "cacti";
$database_hostname = "localhost";
$database_username = "cactiuser";
$database_password = "MyV3ryStr0ngPassword";
$database_port = "3306";
$database_ssl = false;

Depending on your installation, you should also uncomment the following line. In our example we have to make sure the following line is there:

$url_path = "/cacti/";

Step 5 – Adding firewall rules

The following settings will add access rules to http and https from outside:

Centos 7: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service=https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service=http
firewall-cmd --reload

Step 6 – Running the Web-based installer

Let’s move on to the web-based installer.

Login with admin/admin and you’re ready to go !

Please go to “Console -> System Utilities” and click on “Rebuild Poller Cache” after the first login!

Posted by 배움나눔
FreeBSD2015. 2. 9. 17:11

출처 : http://thirdnsov.tistory.com/72

 

우선 root로 /usr/ports/net-mgmt/net-snmp/ 이 경로로 이동하고

make install clean을 친다.

make 명령어를 치고 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OK를 선택해준다.(저게 다 정확히 뭐하는지는 모르겠다..)

 

 

OK를 선택하면 마치 yum 처럼 혼자 열심히 다운 받고 설치하기 시작한다.

 

 

그러다 도중에 perl 설치 관련해서 화면이 또 뜨는데 이것도 입맛에 따라 선택하고 OK를 눌러준다.

뭐가 뭔지 모르면 나처럼 그냥 바로 엔터쳐도 된다.

 

 

그러면 또 열심히 perl을 설치하기 시작한다.

 

 

perl까지 설치가 완료가 되면 아래 사진과 같이 깔끔하게 종료가 될 것이다. 깔끔하지 않았다면 뭔가 문제가 있는게 아닐까 싶다.

 

이렇게 하면 FreeBSD에 net-snmp 패키지 설치가 완료 된다.

이후 아주 간단하게 설정을 한번 해보겠다.(나는 RRDTool인 Cacti에 붙게 하기 위해서만 설정해서 다른 기능은 잘 모른다..)

 

일단 snmp 관련해서 설정하는 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는걸로 알고있다.

하나는 직접 snmpd.conf 파일을 수정하는 것

다른 하나는 snmpconf를 이용해 수정하는 것

(snmpconf도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i 옵션으로 원하는 값만 골라서 수정하는 거고 하나는 snmpconf -g basic_setup을 입력하면

설정값 하나하나 step by step으로 모두 직접 설정하는 방법이있다.)

최초 설치 때는 snmpconf가 있는 줄 몰라서 직접 snmpd.conf를 수정했었는데 몇 번 해보면서 snmpconf로 설정하고 마무리로 직접 수정을 병행하고 있다.

물론 여기에는 병행하는 걸 쓸 것이다.(사실 snmpconf만으로 충분히 설정이 되는데 정확한 사용법을 몰라서 직접 수정도 같이 했다..)

 

우선 /usr/local/share/snmp/ 디렉토리에 가보면 snmpd.conf 파일은 없고 snmpd.conf.example이 존재할 것이다.

저 파일은 net-snmp 자체에서 설정값을 예시로 해놓은건데 몇 개 설정값 빼고는 그냥 둬도 되니 cp로 snmpd.conf로 카피해준다.

 

 

복사를 해주고 난 뒤 상위 디렉토리나 다른 아무 디렉토리로 이동하고 snmpconf -i를 입력한다.

(다른 디렉토리로 가는 이유는 정확하진 않는데 snmpd.conf가 있는 디렉토리에서 snmpconf를 실행하면 밑에 사진 처럼 상대 경로와 절대경로로 파일을

스캔해서 같은 snmpd.conf인데 파일이 2개 존재하는 걸로 인식해서 저장이 제대로 되지 않더라..)

(같은 파일을 다른 두 개 파일로 인식하는 문제의 경우)

 

그리고 snmpd.conf.example 파일을 미리 snmpd.conf로 복사 해놨기 때문에 아래 같이 뜰 것이다.

원래는 복사를 안해놔도 되지만 그렇게 되면 모든 설정값을 일일이 해줘야하기 때문에 미리 복사를 해놓았다.

저렇게 파일을 하나만 인식하면 저장이 잘 되니까 놀라지 말고 엔터를 쳐주자

 

엔터를 치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뜨는데 설정할 파일 종류를 선택하는 화면이다.

우리가 설정할 파일은 snmpd.conf 니까 당연히 1번을 누르고 엔터를 친다.

(아래 스샷은 snmpd.conf를 복사하기 전에 찍어서 위 사진 같은 말이 없는 것)

 

 

1번을 고르면 또 다시 선택지가 나오는데 이제서야 진짜 설정을 하기 시작한다.

궁금하면 하나씩 다 들어가서 설정해도 되지만.. 무턱대고 아무거나 설정해버리면 나중에 snmpd가 안올라가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 선택지들 중에서 내가 하려는 Cacti를 위해 필요한 번호는 2, 3, 6번이다.

우선 2를 누르고 엔터를 치자

 

 

Access Control Setup을 선택하면 아래 처럼 또 다시  선택지가 나오는데

쉬운 영단어로 되있어서 금방 파악할 것이다.

1번은 SNMPv3 에서 읽고쓰기 권한을 갖는 유저 설정

2번은 SNMPv3 에서 읽기 권한만 갖는 유저 설정

3번은 SNMPv1/v2 에서 읽기 권한만 갖는 커뮤니티 이름 설정

4번은 SNMPv1/v2 에서 읽고쓰기 권한을 갖는 커뮤니티 이름 설정

여기서 cacti에 손 쉽게 붙이려면 3번을 선택해서 커뮤니티 이름을 설정해준다.

 

 

3번을 선택하면 먼저

The community name to add read-only access for:

라고 질의를 던진다. 그러면 원하는 커뮤니티 이름을 적고 엔터. cacti에서 기본 커뮤니티 이름은 public기 때문에 나는 public을 입력했다.

다음으로 The hostname or network address to accept this community name from [RETURN for all] 라고 바로 나온다.

그러면 cacti나 다른 RRDTool을 사용하고 있는, 즉 이 컴퓨터를 모니터링할 컴퓨터의 hostname이나 IP주소를 입력해준다.

나는 cacti가 설치되있는 컴퓨터의 IP를 입력해줬다.

그리고 나면 마지막 줄에 OID를 입력하라고 뜨는데 이건.. 정확히 뭔지 모르겠다..

OID라는 건 어느 정도 알겠는데 정확히 뭘 설정하는건지는 모르겠다..

(아시는분은 가르침을 부탁드립니다 ㅠ)

 

 

이렇게 Access Control Setup 란에서 설정하는 건 끝났다.

그럼 이제 finished를 입력하고 다시 초기 선택지 화면으로 돌아가준다.

돌아왔으면 이제 3을 누르고 엔터를 쳐주자

 

 

이번엔 Trap Destinations 관련 설정을 하는건데 Trap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몰라서 여기다 적기엔 부족하다..

아마 특정 이벤트에 대해 뭔가 작동하는 걸텐데.. 궁금하신 분은 따로 검색해보시는 걸 추천..!

어쩄든 여기 선택지에서 설정해줄 것은 2번인 A SNMPv2c trap receiver 이다.

2를 누르고 엔터를 치자

 

 

그럼 아까 커뮤니티 이름 설정하는 것 처럼 한 줄씩 질의를 던진다

맨 처음 Trap정보를 받을 host의 이름을 입력하고 뜨는데 이 것 역시 cacti가 설치된 host의 IP를 써주면 된다.

그리고 엔터를 치면 커뮤니티 이름을 쓰라고 나오는데 아까 위에서 설정했던 이름을 입력해주면 되고

마지막에는 사용할 포트를 입력하라고 나오는데 아무 것도 입력안하고 엔터를 치면

SNMP 기본값인 161포트가 설정이 된다.

 

 

다 입력했으면 다시 finished를 입력하고 초기 선택지 화면으로 돌아간다.

이제 마지막 6번 관련 설정을 하면 된다. 6을 누르고 엔터 ~

 

6번인 Agent Operationg Mode 에 진입하면 아래와 같이 뜨는데 1, 2, 3번에 대한 기능은 정확히 모르겠다..

설정을 한 번 해봤는데 딱히 다른 점을 모르겠더라..(저장이 안됬었나)

무튼 여기서 4번을 선택해준다.

 

 

4번을 선택하면 역시나 바로 질의를 던지는데 snmpd.conf에서 agentaddress 설정을 하는 곳이다.

통신 할 때 사용할 프로토콜이랑 포트 관련 설정을 하는 것이다.

사진에 udp:161이라고 입력했는데 이는 통신할 때 UDP를 사용하고 모든 네트워크에 대해 포트는 161을 사용하겠다는 의미다.

나는 모든 네트워크 말고 특정 네트워크만 설정해주고 싶어서 IP를 입력해봤지만 snmp 데몬이 실행이 안됬었다..

arguments를 보면 [transport:]port[@interface/address]라고 되어있는데

이 형식으로 입력하면 snmp 데몬이 실행이 안된다..혹여 잘 못입력한 건가 하고 검색을 해봤지만

저 형식으로 입력하는 사람을 보질 못했다..(내가 틀리게 한 걸 수도)

agentaddress 입력값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man 8 snmpd 를 참고하길 바란다.(거기 나온대로 해도 안되더라 ..)

 

 

이제 finished를 입력하고 마지막에 quit를 입력해주면 저장이 됬다고 출력될 것이다.

이렇게 하면 snmpconf로 필요한 설정을 다 해줬다..

더 해줘야 할게 있을 수도 있을테지만 적어도 Cacti 사용에는 문제가 없었다.

아 한 가지 빼먹은게 마지막에 agentaddress를 설정을 하고 나서 snmpd.conf를 수정해줘야한다.

snmpd.conf.example에 agentaddress가 최초에 udp:127.0.0.1:161로 정의되어있는데

이 라인을 지우거나 주석처리 해줘야 충돌없이 실행된다.

아마 snmpconf에서 지울 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 못 찾겠더라..

 

 

이렇게 수정하고 저장하면 일단 대략적인 설정 끝!

좀 더 세세하게 설정하고 싶은 분들은 구글링을 추천한다..

국내 블로그에 그렇게 많은 내용이 포팅되어 있지는 않아서..

이제 snmp를 실행해야하는데 그 전에 마지막으로 한 가지 더 해줘야할 것이 있다.

vi나 기타 에디터로 /etc/rc.conf를 열어 snmpd_enable="YES" 를 입력하고 저장해준다.

이걸 해주지 않으면 실행은 시킬 수 있으나 .. 해주는게 실행할 때 오류도 없고 나중에 편하다..

이제 /usr/local/etc/rc.d/snmpd start를 입력해주면 snmpd가 시작한다.

아마 net-snmp를 설치하자 마자 snmpd가 시작되어있을 수도 있다.

start나 restart를 사용하자.

아래처럼 깔끔하게 시작이 됬다면 설정 한 값이 시작하는데 크게 문제되는 것은 없는 것이다.

 

 

정상적으로 시작 되었으니 제대로 돌고 있는지 확인해보자

sockstat -4 -l | grep 161 를 입력해준다.(왜냐고 물어보지 않길)

netstat를 사용해도 된다.

 

 

다 됬으니까 이제 SNMP를 설치한 진짜 목적인 Cacti에서 접근이 되는지 확인해보자

간단하게 사진 두장으로 보겠다.

바로 아래 사진을 보면 hostname에 방금 SNMP를 설치한 host IP주소가 입력되있고

그 밑으로 SNMP Version 2가 선택되어있고 커뮤니티 이름으로 public, 사용 포트로 161이 입력되있다.

 

 

저렇게 제대로 값을 입력하고 Create를 눌렀을 때 아래와 같이 뜨면 성공한것이다.

 

Posted by 배움나눔
FreeBSD2015. 2. 9. 17:07

 

출처 : http://blog.saturnsoft.net/2010/03/freebsd-7x-ntp.html?utm_source=feedburner&utm_medium=feed&utm_campaign=Feed%3A+saturnsoft+%28S+A+T+U+R+N+S+O+F+T%29

 

FreeBSD 7.2 기준입니다.

ntp설정이 있긴 한데 매뉴얼도 없고... CentOS 기준으로 파일을 복사해서 사용하는게 쉽더군요.
아래 명령은 root 권한이 필요합니다.

일단 /etc/rc.conf 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합니다.

ntpd_enable="YES"
ntpd_sync_on_start="YES"

그리고 몇가지 사전 작업을 합니다.

# touch /etc/ntp/keys
# mkdir /var/lib/ntp

/etc/ntp.conf 를 다음 내용을 만듭니다. 내용은 CentOS 5.x 의 /etc/ntp.conf 에서 주석만 제거한 것입니다.

restrict default nomodify notrap noquery
restrict 127.0.0.1
server 0.pool.ntp.org
server 1.pool.ntp.org
server 2.pool.ntp.org
server 127.127.1.0 # local clock
fudge 127.127.1.0 stratum 10
driftfile /var/lib/ntp/drift
broadcastdelay 0.008
keys /etc/ntp/keys

다 되었으면 ntp를 시작해 줍니다.

# sh /etc/rc.d/ntp start

/var/log/messages 의 내용을 체크해 봅니다. 아래와 같이 오류가 없으면 문제 없는 것입니다.

Mar 18 17:52:10 chii ntpd[1747]: ntpd 4.2.4p5-a Mon Jan 18 21:26:42 PST 2010 (1)

혹시 ntpdate를 cron에서 돌리는게 있었다면 주석 처리해 주세요. 두가지는 동시에 실행되지 않습니다. 부팅시에 ntp 뜨기 전에 ntpdate를 실행하는 것은 시간을 미리 맞추고 ntp를 기동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권장하는 방식입니다.

ntp를 local로 돌리는 장점은 시간이 틀어지면 자동으로 수정된다는 것으로, PC내장 클럭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오버헤드도 별로 없으므로 다수의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ntpdate를 주기적으로 실행하는 것보다 권장하고 싶군요.

'FreeBSD'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eebsd Installing Ports from CD/DVD?  (0) 2015.03.06
FreeBSD SNMP  (0) 2015.02.09
FreeBSD - Xorg + Gnome2 + 데스크탑 프로그램설치.  (0) 2012.05.11
FreeBSD ports 좀더 자세히 알기  (0) 2012.05.11
FreeBSD SNMP 설치 (net-snmp)  (0) 2012.05.10
Posted by 배움나눔
Windows2015. 1. 16. 17:04

출처 : http://support.microsoft.com/kb/280061

 

Step 1 : DNS 정보 저장

1.      시작->실행->regedit 입력 후 “확인”을 누릅니다.

2.      하기 경로로 이동합니다.

3.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DNS Server\Zones

4.      Zone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내보내기”를 선택하신 후 적당한 위치에 저장합니다.

5.      시작->내컴퓨터->C:\Windows\system32\dns로 이동합니다.

6.      해당 폴더에 저장된 모든 *.dns 파일을 적당한 위치에 저장합니다.

7.      4번과 6번 과정을 통해 추출된 *.reg *.dns 파일을 새롭게 구성할 DNS 서버에 복사합니다.

 

 

Step 2 : DNS 정보 입력

1.     시작->제어판->프로그램 추가제거->원도우 구성요소 추가제거->네트워크 서비스->도메인 이름 서비스 선택 후 설치 작업을 진행합니다.

2.     기존 DNS에서 추출한 *.dns 파일을C:\Windows\system32\dns에 모두 복사합니다.

3.     기존 DNS에서 추출한 *.reg 파일을 두번 클릭하여 추가 작업을 진행합니다.

4.     시작->실행->services.msc 입력 후 확인을 누릅니다.

5.     DNS Server 서비스를 재 시작 합니다.

6.     DNS Console을 열어 정상적으로 모든 Zone이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

 

 

 

 

 

Posted by 배움나눔
Windows2014. 12. 24. 17:03

출처 : http://stpetrus27.wordpress.com/2010/10/01/windows-7-enterprise-sql-server-2008-r2-%EC%84%A4%EC%B9%98-%EC%98%A4%EB%A5%98-2/

 

 

오류 내용:

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ErrorsException: userSettings/Microsoft.SqlServer.Configuration.LandingPage.Properties.Settings에 대한 구성 섹션 처리기를 만드는 동안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파일이나 어셈블리 ‘System, Version=4.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77a5c561934e089′ 또는 여기에 종속되어 있는 파일이나 어셈블리 중 하나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지정된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C:\Users\Administrator\AppData\Local\Microsoft_Corporation\LandingPage.exe_StrongName_ryspccglaxmt4nhllj5z3thycltsvyyx\10.0.0.0\user.config line 5) —>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파일이나 어셈블리 ‘System, Version=4.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77a5c561934e089′ 또는 여기에 종속되어 있는 파일이나 어셈블리 중 하나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지정된 파일을 찾을 수 없습니다.

해결 방법:

LandingPage.exe_StrongName_… 파일 삭제

Posted by 배움나눔
카테고리 없음2014. 12. 1. 14:34

출처 :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azure/dn630228.aspx

 

VM에 대한 고정 DIP(내부 IP 주소) 구성

이 항목은 아직 평가되지 않았습니다.- 이 항목 평가

업데이트 날짜: 2014년 11월

대부분의 경우 가상 컴퓨터에 대한 고정 DIP(내부 IP 주소)를 지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가상 네트워크의 VM은 지정한 범위에서 내부 IP 주소를 자동으로 받습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특정 VM의 고정 IP 주소를 지정해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VM에서 DNS를 실행하거나 VM을 도메인 컨트롤러로 사용하려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또는 일부 시점에서 VM을 중지/프로비전 해제하되, 다시 프로비전할 때 VM에 대한 DIP를 유지하려는 경우도 해당됩니다. 고정 DIP는 중지/프로비전 해제 상태에서도 VM에 유지됩니다. VM을 만들 때 PowerShell을 사용하여 고정 DIP를 지정하거나, 기존 VM을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가상 네트워크에 VM과 PaaS 인스턴스가 둘 다 있는 경우 VM에 대한 별도의 서브넷을 만들고 이 서브넷에 VM을 배포하여 고정 DIP가 있는 VM을 PaaS 인스턴스에서 분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별도의 서브넷에서 정적 VM을 확인하고 고정 DIP가 있는 VM을 즉시 알 수 있지만, 이 릴리스에서는 새 PaaS 인스턴스가 중지/프로비전 해제 중인(다시 시작되지 않은 상태) VM에서 고정 DIP를 가져오지 못하게 됩니다. 이는 VM/PaaS 서브넷과 DIP가 혼합된 환경에 대한 이 릴리스의 현재 제한 사항입니다. VM만 서브넷에 배포한 경우에는 일부 VM에 고정 DIP가 없는 경우에도 이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VM을 이미 배포한 경우 새 서브넷으로 간편하게 이동하여 이 잠재적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른 서브넷으로 VM 또는 역할 인스턴스 이동를 참조하세요.

주소 풀에서 고정 IP 주소를 지정하기 전에 IP 주소가 아직 할당되지 않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에서는 TestVNet 가상 네트워크에서 IP 주소 192.168.4.7을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봅니다.

Test-AzureStaticVNetIP –VNetName TestVNet –IPAddress 192.168.4.7 

cmdlet을 실행하기 전에 환경에 필요한 요소를 반영하도록 cmdlet의 변수를 변경해야 합니다.

New-AzureVMConfig -Name $vmname -ImageName $img –InstanceSize Small | Set-AzureSubnet –SubnetNames $sub | Set-AzureStaticVNetIP -IPAddress 192.168.4.7 | New-AzureVM –ServiceName $vmsvc1 –AffinityGroup "NorthEuropeAG";

이전에 만든 VM에 대한 고정 IP 주소를 설정하려는 경우 다음 cmdle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VM의 IP 주소를 이미 설정하고 이를 다른 IP 주소로 변경하려면 이러한 cmdlet을 실행하기 전에 기존 고정 IP 주소를 제거해야 합니다. 고정 IP를 제거하려면 아래 지침을 참조하세요.

이 절차에서는 Update-AzureVM cmdlet을 사용합니다. Update-AzureVM cmdlet은 업데이트 프로세스의 일부로 VM을 다시 시작합니다. 지정한 DIP는 VM이 다시 시작된 후에 할당됩니다. 이 예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StaticDemo에 있는 VM2의 IP 주소를 설정합니다.

Get-AzureVM -ServiceName StaticDemo -Name VM2 | Set-AzureStaticVNetIP -IPAddress 192.168.4.7 | Update-AzureVM

VM에서 고정 IP 주소를 제거하면 업데이트 프로세스의 일부로 VM이 다시 시작된 후 VM에서 새 DIP를 자동으로 받습니다. 아래 예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StaticDemo에 있는 VM2에서 고정 IP 주소를 제거합니다.

$Get-AzureVM -ServiceName StaticDemo -Name VM2 | Remove-AzureStaticVNetIP | Update-AzureVM

참고 항목

Posted by 배움나눔